READING

100년의 난제 푸엥카레 추측은 어떻게 풀렸을까?

독고차 2010. 1. 6. 00:27
100년의 난제 : 푸앵카레 추측은 어떻게 풀렸을까?10점
푸엥카레 추측이란, 100년전 푸엥카레가 제기한 문제로 이것을 증명하면 우주의 형태를 가늠해 볼 수 있다고 한다. 이런 100년의 난제 푸엥카레 추측을 페렐만 박사가 해결하게 된다. 하지만 수학계 최고 권위의 상인 필즈 상 수상을 스스로 거부한다. 책에서 보여지는 페렐만 박사는 특이하다. 그 어떤 보상과 물질적인 것들에는 눈을 돌리지 않고 오로지 수학의 세계에 빠져살고 있다. 그런 학문에 대한 순수한 열정을 가지고 오로지 진리 탐구에만 매달리는 사람이 특이해 보이는 건, 내가 세속적이고 물질적인 혜택을 바라는 것에 익숙해져 버리고 당연시 여기게 된 그런 탓도 있을 것 같다. 어쨋든, 그런 집중력과 몰입이 어느 한 분야의 최고를 만들게 된다. 그 만큼 버려야 할 것도 많겠지만, 자신이 추구하는 것 하나로도 충분히 행복을 느낄 수 있다면, 그리고 그러한 자신의 행동으로 인해 사람들에게, 인류에게 도움이 되는 일을 하는 것이라면 충분히 보람되고 가치있는 삶을 사는 것일 것이다. 취업을 목전에 둔 나로써, 내가 앞으로 어떠한 일을 하며 세상에 기여를 하며 살수 있을까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해주는 시간이었다.

 '곡선 모양의 우주'의 URL http://www.geometrygames.org/CurvedSpaces/
매우 흥미로운 사이트이다. 프로그램을 다운받아서 실행시키면 곡선 모양의 우주의 모습을 살펴 볼 수 있다. '만일 우리 우주가 도넛 모양이라면 우주는 어떤 식으로 보일까. 우리는 우주를 '밖에서' 볼 수 없지만 이 '곡선 모양의 우주'를 사용하면 도넛형 우주를 고속으로여행하는 의사 체험을 할 수 있다고 한다. - 본문 중'
http://chajs226.tistory.com2010-01-05T15:27:470.31010